"AI 자체보단 AI 활용한 맞춤형 기술개발 스타트업이 투자유망"

[제14회 청년기업가대회 심사위원 일문일답]⑮이승흠 어니스트벤처스 대표
  • 최태범 기자
  • 2025.04.18 12:40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image
이승흠 어니스트벤처스 대표
제14회 청년기업가대회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는 어니스트벤처스 이승흠 대표는 한국벤처투자에서 모태펀드를 운용했다. 포트폴리오의 다각화를 추구하며 한 분야에서 확고한 지배력을 가지고 미래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스타트업에 관심이 높다. 현재는 혁신형 모빌리티 분야의 펀드 운용에 집중하고 있다.

-올해 개인적으로 관심을 갖는 벤처투자 분야는?
▶지금까지 AI 자체가 혁신의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AI는 활용도구라는 관점에서 전략적으로 AI를 활용한 바이오, 헬스케어, 제조, 유통, 서비스, 콘텐츠 등 여러 분야에서 맞춤형 기술을 선보이는 스타트업이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고객가치 제고와 비용 및 시간을 절감시켜주는 로봇, 혁신형 모빌리티,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 핵심기술과 확장성을 보유한 기업들을 투자유망 분야로 주목한다.

-올해 벤처투자 업계의 주요 이슈는?
▶금년도 벤처투자시장은 투자회사들의 펀드결성 및 회수 어려움 등 외생 변수가 작년보다 호전될 것으로 보이지 않아 다소 경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투자회사들의 핵심역량이 투자업체의 발굴 및 투자에서 펀드결성 및 출자자와의 소통 등으로 분산될 가능성이 높아 투자의 활성화가 위축될까 우려된다.

-지난해 벤처투자가 크게 위축되었는데, 올해는 회복될까?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벤처펀드가 결성되고 있어 투자여건은 다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투자자는 유통시장의 침체와 벤처펀드 조달시장의 경색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보수적 관점을 유지할 것이다. 따라서 스타트업은 본연의 핵심가치에 집중하되 제품, 서비스, 수익모델 측면에서 시장상황에 적합한 유연성을 필요로 할 것이다. 투자자와는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하며 장기적 관점에서 비전을 공유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