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박차고 나간 창업자가 전하는 '스타트업 中진출 꿀팁'

[진격의 K-스타트업, 세계로!]중국 교육시장 뚫은 김희종 상상락 유아창의교육 대표

image
김희종 상상락창의센터 대표
"한국 기업이 중국에 진출해서 1등을 하겠다고 말한다. 중국 시장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발언이다. 앞으로는 중국에서 그런 방식으로는 사업을 할 수 없다. 중국은 결국 자국 기업을 키울 것이다."

김희종 상상락 유아창의교육 대표는 28일 스타트업얼라이언스가 개최한 스타트업 네트워킹 행사 '테헤란로 런치클럽' 강연에서 "한국에서 성과를 낸 뒤 중국인 파트너와 함께 사업을 추진해야 중국 시장을 뚫을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2001년 상하이 푸단대 석사를 마친 김 대표는 CJ 바이오사업팀을 거쳐 삼성전자 글로벌 마케팅팀에서 5년여 근무하던 중 2009년 돌연 사표를 내고 중국으로 건너가 유아교육 스타트업인 상상락 유아창의교육을 설립했다.

상하이에서 12년째 사업을 이어오고 있는 상상락 유아창의교육은 중국 전역에 설치한 60여곳의 교육센터를 통해 1~6세 유아들에게 사고력, 창의력, 표현력을 길러주는 커리큘럼을 제공한다.

중국 유아교육 시장의 경우 영어·예체능을 포함해 수천여개의 브랜드가 경쟁하는 상황이다. 상상락 유아창의교육은 상위 10위권 내 기업으로 평가된다. 중국 생활서비스 플랫폼 '다종디엔핑'에서 최상위 소비자 평가를 받은 바 있다.

김 대표는 2012년에는 중국산업협회총회에서 '중국 10대 창업기업상'을 받았다. 교육업계 대표로는 유일한 수상이었고, 최초의 외국인 수상이었다. 중국 제일경제방송이 주최하는 이 총회의 시상식은 중국 전역에 방송됐다.

2020년에는 중국 유아용품 관련 상장사인 베이비맥스(Babemax)의 투자를 받고, 협력을 확대하는 등 현지 파트너사와 함께 시장을 빠르게 확대해 나가고 있다.

image
김 대표는 중국 내 코로나19 상황,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 등 정치·경제적 변화를 중심으로 국내 기업들의 중국 진출 전략을 조언했다. 그는 "중국의 최근 변화 중 가장 큰 것이 '경직(硬直)'이다. 중앙정부의 통제력이 매우 강해졌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정부를 따르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지 마윈(알리바바그룹 창업자) 사례를 통해 보여줬다"며 "중국은 미래 먹거리를 위해 내수를 살리고 지역 특색을 강화하는 식으로 경제를 이끌어가지, 해외 기업들에 시장을 개방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나이키와 휠라(FILA) 사례를 들며 중국 진출을 위해선 현지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의 애국주의로 인해 나이키는 매출액이 35% 떨어진 반면 중국 안타그룹과 손잡은 휠라는 계속 승승장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우리는 중국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그들이 성장할 때 같이 성장해야 한다"며 "우선 국내에서 좋은 기술이나 콘텐츠로 능력이 충분히 입증됐을 때 중국에 진출해야 한다. 예전처럼 막무가내로 나가선 안 되는 시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시작을 중국에서 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며 "중국 기업이 넘볼 수 없는 실력을 갖춘다면 중국에서 좋은 파트너를 만날 수 있다. 중국에 진출해 넘버원(No.1)이 되겠다는 것이 아닌 온리원(Only 1)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image
김 대표는 코로나19 상황과 중국 중앙정부의 통제 등으로 경기가 한동안 침체되는 위기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이 기간만 이겨내면 새로운 기회가 찾아올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중국의 하강 국면이 최소 1~2년 계속될 수 있다"며 "내려가는 게 있으면 다시 올라갈 수밖에 없다. 이때를 대비해서 현지에서 꾸준히 준비하고 있는 기업이 시장을 먹는다. 좋아질 때 들어가면 이미 기회가 없다"고 했다.

이어 "한국 사람들은 성격이 급해서인지 수익이 안 나오면 금방 발을 뺀다. 누군가는 현지에서 역할을 해줘야 하는데 안타깝다"며 "중국은 어마어마하게 큰 시장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이어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새로운 도전도 예고했다. 오프라인 교육센터 중심의 사업모델을 벗어나 홈스쿨링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김 대표는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는 것 자체가 시장이다. 아이들이 집에서 배울 수 있는 과정을 제품과 영상으로 만들어 판매할 것"이라고 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